본문 바로가기
탐구력 과학

2-3. 초등 과학 독서 & 영상 콘텐츠 추천: 과학을 좋아하게 만드는 책과 유튜브

by theglow 2025. 8. 29.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대부분 재미있는 경험에서 출발합니다.

학교 교과서만으로는 아이들의 호기심을 모두 충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책과 영상을 함께 활용하면 학습과 흥미를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초등학생이 읽기 좋은 과학 책과 구독자·조회수가 많은 유익한 유튜브 채널을 소개하고, 이를 일상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초등 과학 독서 & 영상 콘텐츠 추천

1. 저학년(3~4학년) 추천 도서

저학년은 그림과 사진 중심의 책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스토리텔링과 시각 자료가 많은 책이 효과적입니다.

  • 《왜요? 과학책》 시리즈: 아이들이 자주 던지는 “왜?”라는 질문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주는 입문용 도서.
  •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책》: 기초 개념을 생활 속 예시와 함께 다루어 과학이 멀리 있는 학문이 아니라는 점을 알려줍니다.
  • 《만화로 보는 과학 교과서》: 그림으로 핵심 개념을 시각화해 주어 교과 진도와 연계하기에 좋습니다.

활용 팁: 책을 읽은 뒤 짧은 독후 일기를 쓰게 하거나, 내용 중 하나를 실제 생활에서 찾아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물이 증발한다’는 내용을 읽었다면 빨래가 마르는 현상과 연결해 설명해보는 식입니다.

 

2. 중학년(5~6학년) 추천 도서

이 시기에는 본격적으로 과학 과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험·탐구 중심 도서가 흥미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호기심 많은 어린이를 위한 실험실》: 집에서 간단히 따라할 수 있는 실험들이 가득합니다. 부모와 함께 주말 활동으로 활용하기 적합합니다.
  • 《초등 과학 Q&A 백과》: 교과서 속 궁금증을 심화해 주는 책으로, 시험 준비와 호기심 충족을 동시에 돕습니다.
  • 《지구와 우주가 들려주는 이야기》: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자연 현상과 천문학 개념을 설명해 아이들의 흥미를 끌어줍니다.

활용 팁: 책에 나온 실험을 실제로 해 본 후 사진을 찍어 탐구 일지를 작성하게 하면 과학 경진대회 보고서 작성 훈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과학을 좋아하게 만드는 유튜브 채널 추천 (2025년 기준)

책만큼이나 유튜브 영상은 강력한 학습 도구입니다. 다만, 무작정 보는 것보다 시청 방법이 중요합니다.

  • 사이언스 올 Science All: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공식 채널. 교과 연계 영상과 실험 시연 영상이 체계적이라 부모들이 가장 많이 추천하는 채널 중 하나입니다.
  • 지니어스 브라운: 생활 속 과학 실험을 재미있게 보여주는 인기 채널.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는 설명이 많아 호응도가 높습니다.
  • 호기심 박사 TV: 단순히 실험 시연에 그치지 않고, 과학 원리를 친근하게 풀어주는 점이 장점입니다.
  • NASA Kids Club (영문): 우주와 천문학에 관심 있는 아이들에게 강력 추천. 영어 노출 효과까지 있어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 EBS 초등 과학: 교과 과정과 직접 연결되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수업 복습과 시험 대비에 활용하기 좋습니다.

활용 팁: 아이가 영상을 시청할 때는 5~10분 단위로 짧게 보고, 바로 실험을 따라 하거나 배운 내용을 말로 정리하게 해보세요. 부모가 곁에서 “이 원리가 교과서 어디에 나올까?” “실제로 우리가 집에서 해볼 수 있을까?” 같은 질문을 던져주면 단순 시청에서 탐구 활동으로 확장됩니다.

 

4. 책과 영상을 함께 활용하는 방법

책과 유튜브는 각각 장점이 있습니다. 책은 깊이 있는 사고를 키워주고, 영상은 즉각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할 때 시너지가 커집니다.

  • 주제 통합 활동: 예를 들어, 책 《지구와 우주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읽은 뒤 NASA Kids Club 영상을 보면 이해가 훨씬 깊어집니다.
  • 주말 가족 실험 프로젝트: 유튜브에서 본 간단한 실험을 집에서 따라 하고, 책에 나온 관련 개념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연결합니다.
  • 탐구 일기 작성: 책·영상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탐구 일기에 기록하고 그림을 곁들이면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자랍니다.

 

5. 마무리

책과 영상은 단순히 지식을 주는 도구가 아닙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그 호기심을 탐구 활동과 자기주도 학습으로 이어주는 다리가 됩니다.

부모는 책과 영상을 아이가 ‘소비’하는 것에 그치지 않도록, 함께 보고 질문을 던지고 실제 생활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면 좋습니다. 그렇게 할 때 과학은 ‘시험 과목’이 아니라 ‘즐거운 탐험’이 되어,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서 오랫동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